공유기 WAN과 LAN의 차이를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연결 실수 없이 설치하는 방법을 실제 사례와 함께 소개합니다.

공유기를 설치할 때 가장 자주 묻는 질문 중 하나는 "WAN이 뭐고, LAN은 뭐지?"라는 의문입니다. 겉보기엔 포트 구멍만 여러 개 있는 장비일 뿐이지만, 이 포트의 차이를 모르고 연결하면 인터넷이 되지 않거나 네트워크 충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공유기 뒷면의 WAN 포트와 LAN 포트의 차이를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 실수 없이 설치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소개합니다.
WAN 포트란 무엇인가?
WAN(Wide Area Network) 포트는 외부 인터넷과 공유기를 연결하는 포트입니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모뎀 또는 통신사 벽면 단자에서 나오는 인터넷선을 이 포트에 꽂습니다. WAN 포트는 공유기의 핵심 역할인 '인터넷 라우팅'을 시작하는 곳이며, 보통 파란색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LAN 포트란 무엇인가?
LAN(Local Area Network) 포트는 공유기 내부에 연결된 기기들(노트북, PC, NAS, 프린터 등)과의 연결에 사용됩니다. WAN 포트로 받은 인터넷 신호를 나눠주는 '허브' 역할을 하며, 일반적으로 4개 이상의 포트가 노란색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쉽게 이해하는 비유
WAN은 외부 인터넷이 들어오는 수도 본관이고, LAN은 집 안의 수도꼭지입니다. 외부에서 인터넷을 받아와서 집안의 기기들이 인터넷을 쓸 수 있게 분배하는 구조이죠.
초보자가 가장 많이 실수하는 연결법
- 인터넷선을 LAN 포트에 꽂는 경우: 공유기는 작동하나 인터넷이 안 됨
- 허브처럼 쓸 때 WAN 포트에 연결하는 경우: 이중 NAT, IP 충돌 등 네트워크 장애 발생
- LAN ↔ WAN 연결: 공유기 2대를 사용할 때 네트워크 경로가 꼬여서 속도 저하 혹은 접속 불가 발생
공유기 1대 사용하는 일반적 연결 구조
- WAN 포트에 인터넷 모뎀 또는 통신사 단자 연결
- LAN 포트에 PC, 노트북, NAS 등 연결
- 무선 연결은 SSID(와이파이 이름)를 통해 접속
공유기 2대를 연결할 때 권장 구조
메인 공유기에 WAN 연결을 하고, 추가 공유기를 단순 허브(AP)로 쓰려면 다음처럼 해야 합니다:
- ipTIME 등 보조 공유기 → DHCP 중지
- LAN ↔ LAN 포트로 연결
- 보조 공유기의 WAN 포트는 비워두기
이중 NAT란 무엇인가?
공유기 2대를 모두 WAN으로 연결하면, 두 공유기 모두 라우팅을 수행하면서 네트워크가 '중첩'되어 혼란이 발생합니다. 이것이 바로 이중 NAT(Double NAT) 문제이며, 게임기, IPTV, 포트포워딩이 필요한 경우 오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고급 사용자를 위한 참고 사항
- 공유기 설정에서 Bridge 모드나 IP 공유기 기능 OFF 항목이 있으면 허브 모드 전환이 쉬움
- 메인 공유기와 보조 공유기의 IP 주소는 서로 다르게 설정 (예: 192.168.0.1 / 192.168.0.2)
정리: WAN vs LAN 연결법 핵심 요약
항목 | WAN | LAN |
---|---|---|
주 용도 | 외부 인터넷 신호 수신 | 내부 기기 연결 및 인터넷 분배 |
연결 대상 | 모뎀, 벽면 단자 | PC, 프린터, NAS 등 |
색상 (보통) | 파란색 | 노란색 |
공유기 2대 연결 시 | 메인 공유기만 WAN 사용 | 보조 공유기는 LAN 사용 |
결론
공유기 설정은 어렵지 않지만, 기본적인 WAN과 LAN의 개념을 이해하지 못한 채 설치하면 여러 문제가 발생합니다. 특히 공유기를 2대 이상 사용할 경우 연결 포트에 따라 네트워크 전체가 꼬일 수 있기 때문에 꼭 이 글에서 소개한 원리를 숙지하고 정확하게 설정하길 바랍니다.